본문 바로가기
Information

이제 인스타그램 사진, 자동으로 저장하고 갤러리 정리 끝!

by 121jskfj6ty3lil 2025. 9. 9.

이제 인스타그램 사진, 자동으로 저장하고 갤러리 정리 끝!

 

목차

  1. 인스타그램 자동 저장 기능, 왜 필요할까?
  2. 가장 쉽고 간단한 방법: 인스타그램 자체 설정 활용하기
  3. 외부 앱을 통한 자동 저장 방법 (아이폰/안드로이드)
  4. 자동 저장 시 유의사항 및 꿀팁

인스타그램 자동 저장 기능, 왜 필요할까?

수많은 사진과 영상이 넘쳐나는 인스타그램 세상에서, 마음에 드는 게시물을 일일이 캡처하거나 다운로드하는 과정은 번거롭고 시간 낭비입니다. 특히 릴스나 스토리를 올릴 때마다 따로 저장하지 않으면 원본이 사라져버리곤 하죠.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인스타그램 사진 자동 저장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활용하면 내가 올린 게시물, 릴스, 스토리가 자동으로 내 휴대폰 갤러리에 저장되어 언제든지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더 이상 중요한 추억을 잃어버릴까 걱정할 필요도, 일일이 캡처하는 수고를 할 필요도 없게 됩니다. 자동 저장은 단순히 편리함을 넘어, 콘텐츠 관리 효율을 극대화하고 소중한 순간들을 안전하게 보관하는 가장 스마트한 방법입니다.


가장 쉽고 간단한 방법: 인스타그램 자체 설정 활용하기

인스타그램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앱 내에 자동 저장 기능을 기본적으로 제공합니다. 이 방법은 별도의 앱 설치 없이 몇 번의 터치만으로 설정할 수 있어 가장 간단하고 안전합니다.

1. 게시물 및 릴스 자동 저장 설정
먼저, 인스타그램 앱을 열고 오른쪽 하단에 있는 프로필 사진을 탭합니다. 그 다음 오른쪽 상단에 있는 세 줄 메뉴 아이콘을 누르고 '설정 및 개인정보'로 들어갑니다. 스크롤을 내려 '보관 및 다운로드' 메뉴를 찾습니다. 이 메뉴 안에는 '원본 사진 저장''릴스 갤러리에 저장' 두 가지 옵션이 있습니다. '원본 사진 저장'을 켜면 내가 인스타그램에 업로드한 모든 게시물 사진의 원본이 갤러리에 자동으로 저장됩니다. '릴스 갤러리에 저장'을 켜면 내가 만든 릴스가 게시 후 자동으로 휴대폰에 저장됩니다. 두 옵션을 모두 활성화하면 게시물과 릴스 모두 손쉽게 백업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특히 사진의 화질 저하를 방지하고, 릴스에 사용된 음악이나 효과가 포함된 채로 저장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합니다.

2. 스토리 자동 저장 설정
스토리는 게시물과 릴스 자동 저장 설정과는 별도로 관리됩니다. 스토리 게시물은 24시간 후 사라지기 때문에 자동 저장 설정이 특히 중요합니다. 스토리 화면에서 왼쪽 상단에 있는 톱니바퀴 아이콘(설정)을 누릅니다. '스토리 갤러리에 저장' 옵션을 찾아 활성화하면, 내가 올린 스토리가 업로드와 동시에 갤러리에 저장됩니다. 이 기능을 켜두면 스토리가 사라진 후에도 추억을 다시 꺼내볼 수 있고, 다른 소셜 미디어에 공유하거나 편집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외부 앱을 통한 자동 저장 방법 (아이폰/안드로이드)

인스타그램 자체 기능 외에도, 특정 용도에 맞게 사진을 자동으로 저장해주는 외부 앱들이 존재합니다. 이 앱들은 주로 사용자가 팔로우하는 계정의 사진을 자동 저장하거나, 특정 해시태그가 포함된 사진만 모아서 저장하는 등 보다 세분화된 기능을 제공합니다.

아이폰 사용자용: 단축어(Shortcuts) 앱 활용
아이폰의 '단축어(Shortcuts)' 앱을 사용하면 인스타그램 자동 저장 기능을 보다 정교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단축어는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여러 기능을 조합하여 하나의 명령으로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애플의 기본 앱입니다.

  1. 새로운 단축어 만들기: 단축어 앱을 열고 오른쪽 상단의 '+' 버튼을 눌러 새로운 단축어를 만듭니다.
  2. 동작 추가하기: '동작 추가'를 탭하고 'URL 내용 가져오기'를 검색하여 추가합니다.
  3. URL 설정: 인스타그램 게시물 URL을 복사하여 URL 입력란에 붙여넣습니다.
  4. '미디어 가져오기': '미디어 가져오기' 동작을 추가하여 URL에서 사진을 추출하도록 설정합니다.
  5. '사진에 저장': 마지막으로 '사진에 저장' 동작을 추가하여 추출된 사진이 갤러리에 자동으로 저장되도록 설정합니다.

이 단축어를 실행하면 특정 게시물의 사진이 자동으로 저장됩니다. 물론 이 방법은 수동으로 실행해야 하지만, 특정 계정의 새 게시물이 올라올 때마다 자동화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자동화' 탭에서 '새로운 자동화'를 만들고 '앱'을 선택한 후 '인스타그램'을 고르고 '게시물이 업로드될 때'를 조건으로 설정하는 방식으로 응용할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사용자용: IFTTT (If This Then That) 앱 활용
안드로이드에서는 IFTTT와 같은 자동화 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IFTTT는 '만약 A가 발생하면, B를 실행하라'는 논리에 기반한 서비스입니다.

  1. 앱 설치 및 로그인: IFTTT 앱을 다운로드하고 계정을 만듭니다.
  2. 'Applets' 만들기: 하단 메뉴에서 'Create'를 탭하여 새로운 자동화 규칙을 만듭니다.
  3. 'If This' 설정: 'This'를 탭하고 'Instagram'을 검색하여 선택합니다. 다음으로 'Any new photo by you' 또는 'Any new photo from a specific user' 등 원하는 조건을 선택합니다.
  4. 'Then That' 설정: 'That'을 탭하고 'Android Photos'를 검색하여 선택합니다. 다음으로 'Add photo to specific folder'를 선택하고 저장할 폴더를 지정합니다.

이렇게 설정해두면 내가 인스타그램에 새 사진을 올리거나, 특정 사용자가 새 사진을 올릴 때마다 해당 사진이 자동으로 내 폰의 지정된 폴더에 저장됩니다.


자동 저장 시 유의사항 및 꿀팁

자동 저장 기능을 사용하면 편리하지만 몇 가지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첫째, 저장 공간을 미리 확보해야 합니다. 인스타그램 사진과 영상은 생각보다 많은 용량을 차지할 수 있으므로, 자동 저장 기능으로 인해 휴대폰 용량이 부족해지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갤러리를 정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둘째, 데이터 사용량을 확인하세요. 모바일 데이터를 사용하여 업로드한 게시물이 자동으로 저장될 때, 데이터가 추가로 소모될 수 있습니다. Wi-Fi 환경에서만 자동 저장이 이루어지도록 설정하거나, 데이터 사용량을 수시로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꿀팁:

  • 스토리 보관함 활용: 스토리는 24시간이 지나면 사라지지만, 자동으로 '스토리 보관함'에 저장됩니다. 갤러리 저장을 깜빡했더라도 스토리 보관함에서 언제든 다시 찾아볼 수 있습니다. 프로필에서 세 줄 메뉴를 누르고 '보관'을 탭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릴스 원본 저장: 릴스 제작 시 음악이나 필터가 저작권 문제로 인해 자동 저장된 영상에서는 사라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는 릴스 업로드 전 '미리보기' 화면에서 오른쪽 상단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 원본을 직접 저장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이처럼 인스타그램의 자체 기능과 외부 앱을 적절히 활용하면, 소중한 추억을 놓치지 않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제 번거로운 캡처는 그만, 자동 저장 기능으로 스마트하게 인스타그램을 즐겨보세요!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더 자세한 자료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