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formation

TPM 활성화, 윈도우11 설치의 가장 큰 장애물을 넘어보자!

by 121jskfj6ty3lil 2025. 9. 13.

TPM 활성화, 윈도우11 설치의 가장 큰 장애물을 넘어보자!

 

목차

  • TPM이란 무엇인가? 윈도우11 설치에 왜 필수인가?
  • 내 PC에 TPM이 있나? 확인하는 방법
  • 윈도우11 TPM 바이오스 설정, 아주 쉬운 방법!
  • 바이오스 진입 방법: 브랜드별 총정리
  • UEFI 설정: 인텔과 AMD, 각각 어떻게 설정하나?
  • TPM 2.0 활성화 후 윈도우11 설치

TPM이란 무엇인가? 윈도우11 설치에 왜 필수인가?

윈도우11 설치를 시도하다 보면 '이 PC는 윈도우11을 실행할 수 없습니다.'라는 메시지와 함께 TPM 2.0 (Trusted Platform Module)이 필수라는 내용을 접하게 됩니다. TPM은 PC의 보안을 강화하는 데 사용되는 하드웨어 칩으로, 암호화 키와 디지털 인증서를 안전하게 보관하는 역할을 합니다. 윈도우11은 이전 버전보다 강화된 보안을 요구하며, TPM 2.0을 통해 부팅 프로세스부터 운영체제 전반에 걸쳐 강력한 보안 환경을 구축합니다. 이 때문에 윈도우11을 설치하려면 TPM 2.0 칩이 내장되어 있거나, 메인보드 설정에서 활성화되어 있어야 합니다. 많은 최신 PC에는 이미 TPM 칩이 탑재되어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바이오스 설정에서 비활성화된 상태로 출고됩니다. 따라서 윈도우11 설치를 위해서는 바이오스에 접근하여 TPM을 활성화하는 과정이 필수적입니다. 이 과정은 PC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오늘 이 글을 통해 아주 쉽고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내 PC에 TPM이 있나? 확인하는 방법

윈도우11 설치를 시작하기 전에 내 PC에 TPM 칩이 있는지, 그리고 버전이 2.0인지 확인하는 것이 가장 먼저 할 일입니다. 이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윈도우키 + R' 을 눌러 '실행' 창을 엽니다. 실행 창에 tpm.msc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릅니다. 그러면 'TPM 관리' 창이 나타납니다. 만약 '호환 가능한 TPM을 찾을 수 없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뜨면, 바이오스에서 TPM이 비활성화되어 있거나 아예 칩이 없는 경우입니다. 반면, 'TPM 제조업체 정보'와 '사양 버전'이 표시되면, 내 PC에 TPM 칩이 있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사양 버전'이 '2.0' 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2.0 미만이거나 아예 표시되지 않는다면, 바이오스 설정을 통해 활성화해야 합니다.


윈도우11 TPM 바이오스 설정, 아주 쉬운 방법!

TPM 활성화는 복잡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바이오스(BIOS) 또는 UEFI 설정 메뉴에서 몇 가지 옵션만 변경해주면 됩니다. 이 과정은 PC 제조사나 메인보드 모델에 따라 메뉴 이름이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기본적인 원리는 동일합니다. 보통 'Security', 'Advanced', 'Boot' 등의 메뉴에 TPM 관련 설정이 숨겨져 있습니다. 인텔 CPU를 사용하는 경우 PTT(Platform Trust Technology) 라는 이름으로, AMD CPU를 사용하는 경우 fTPM(Firmware-based TPM) 이라는 이름으로 TPM 기능이 통합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바이오스에서 이 두 가지 옵션을 찾아 'Enabled'로 변경해주면 됩니다.


바이오스 진입 방법: 브랜드별 총정리

바이오스에 진입하는 방법은 PC를 재부팅할 때 특정 키를 누르는 것입니다. 제조사마다 이 키가 다르므로, 내 PC에 맞는 키를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 삼성(Samsung): F2 또는 Del
  • LG(LG): F2
  • HP(Hewlett-Packard): F10 또는 Esc
  • 레노버(Lenovo): F1 또는 F2
  • 델(Dell): F2 또는 F12
  • 에이수스(ASUS): Del 또는 F2
  • 기가바이트(GIGABYTE): Del
  • MSI(Micro-Star International): Del
  • 애즈락(ASRock): F2 또는 Del

PC를 켜자마자 화면에 제조사 로고가 나타날 때, 해당하는 키를 여러 번 반복해서 누르면 바이오스 설정 화면으로 진입할 수 있습니다. 만약 빠르게 진입하지 못하면, 재부팅 후 다시 시도해야 합니다.


UEFI 설정: 인텔과 AMD, 각각 어떻게 설정하나?

바이오스에 진입했다면, 이제 TPM 활성화 옵션을 찾아야 합니다. 보통 바이오스 초기 화면은 'EZ Mode'로 표시될 수 있는데, 이 경우 'Advanced Mode' 로 전환해야 더 많은 옵션을 볼 수 있습니다. 'Advanced Mode'로 전환하는 단축키는 보통 F7입니다.

인텔(Intel) 기반 시스템:

  • 메인보드 제조사: ASUS, MSI, GIGABYTE 등
  • 경로: 'Advanced' 또는 'Security' 탭으로 이동
  • 옵션 이름: 'PCH-FW Configuration' 또는 'Trusted Computing'
  • 설정: 'TPM Device Selection'에서 'Enable PTT' 또는 'Discrete TPM' 을 선택합니다.
  • 주의사항: Intel PTT는 CPU에 내장된 기능으로, 별도의 TPM 칩이 없어도 작동합니다.

AMD 기반 시스템:

  • 메인보드 제조사: ASUS, MSI, GIGABYTE 등
  • 경로: 'Advanced' 또는 'Settings' 탭으로 이동
  • 옵션 이름: 'AMD fTPM Configuration' 또는 'CPU fTPM'
  • 설정: 'TPM Device Selection'에서 'Enable fTPM' 또는 'Firmware TPM' 을 선택합니다.
  • 주의사항: AMD fTPM은 CPU 펌웨어에 내장된 기능으로, 역시 별도의 칩이 없어도 작동합니다.

TPM 2.0 활성화 후 윈도우11 설치

TPM 관련 설정을 변경했다면, F10 키를 눌러 'Save & Exit' 를 선택합니다. 변경사항을 저장하고 바이오스에서 나옵니다. PC가 재부팅되면 이제 윈도우11 설치를 다시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윈도우11 설치 미디어(USB 또는 DVD)로 부팅하고, 설치 과정을 진행하면 더 이상 TPM 2.0 관련 오류 메시지가 나타나지 않고 정상적으로 설치가 진행될 것입니다. 만약 여전히 문제가 발생한다면, 'Secure Boot' (보안 부팅) 옵션도 함께 활성화되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최신 바이오스는 TPM 활성화 시 Secure Boot도 자동으로 활성화시키지만, 수동으로 설정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Secure Boot 옵션은 보통 'Boot' 또는 'Security' 탭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이제 TPM 활성화라는 큰 산을 넘었으니, 윈도우11의 새로운 기능들을 마음껏 경험해 보세요!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더 자세한 자료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