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택스를 이용한 프리랜서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 완벽 가이드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파란박스 클릭!
목차
- 프리랜서 종합소득세 신고 의무 및 기간
- 홈택스 이용 준비물
- 홈택스 종합소득세 신고 절차 (간편장부 기준)
3.1 신고 유형 선택 및 기본 정보 입력
3.2 사업소득 계산
3.3 소득공제 및 인적공제 입력
3.4 세액 계산 및 납부 - 추가 정보 및 주의 사항
1. 프리랜서 종합소득세 신고 의무 및 기간
프리랜서로서 매년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 종합소득세는 사업소득, 근로소득, 재산소득, 양도소득 등 모든 소득을 합산하여 계산되는 세금입니다.
만약 2023년 프리랜서 소득이 2,400만 원 미만이라면 간편장부 방식으로 신고할 수 있습니다. 간편장부 방식은 서류 작성 없이 간편하게 신고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소득이 7,500만 원 이상인 경우 또는 정확한 소득과 경비를 파악하고 싶은 경우에는 정확장부 방식으로 신고해야 합니다.
2. 홈택스 이용 준비물
홈택스를 이용하여 프리랜서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려면 다음과 같은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 주민등록번호
- 사업자등록번호 (없는 경우 개인번호 사용 가능)
- 2023년 사업소득 및 지출 내역
- 소득공제 및 인적공제 관련 증빙 서류 (영수증, 카드 이용 내역서 등)
- 인터넷뱅킹 계좌 (납부 시 사용)
3. 홈택스 종합소득세 신고 절차 (간편장부 기준)
3.1 신고 유형 선택 및 기본 정보 입력
- 홈택스에 로그인 후, 좌측 메뉴에서 "종합소득세 신고" > "신고하기" 를 선택합니다.
- "신고 유형 선택" 페이지에서 "간편장부" 를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 "기본 정보 입력" 페이지에서 본인의 주민등록번호, 성명, 휴대폰 번호 등을 정확하게 입력합니다.
3.2 사업소득 계산
- "사업소득 계산" 페이지에서 "사업종류" 를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 "사업소득 내역 입력" 페이지에서 "소득금액" 과 "지출금액" 을 정확하게 입력합니다.
- 소득금액: 프리랜서 업무로 인한 모든 매출 금액을 합산한 금액입니다.
- 지출금액: 사업 운영에 필요한 모든 비용을 합산한 금액입니다.
- "계산" 버튼을 클릭하면 자동으로 사업소득이 계산됩니다.
3.3 소득공제 및 인적공제 입력
- "소득공제 및 인적공제" 페이지에서 본인에게 적용되는 소득공제 및 인적공제 항목을 선택하고 필요한 금액을 입력합니다.
- 소득공제: 연금, 의료비, 주택마련저축 등 소득에서 공제할 수 있는 금액입니다.
- 인적공제: 배우자, 자녀, 부양가족 등을 위한 공제 금액입니다.
- "계산" 버튼을 클릭하면 자동으로 공제 금액이 계산됩니다.
3.4 세액 계산 및 납부
- "세액 계산 및 납부" 페이지에서 자동으로 계산된 세액을 확인합니다.
- "납부방식" 을 선택하고 "인터넷뱅킹 납부" 를 선택한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파란박스 클릭!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EBS 독학사 간호연구방법론, 어떻게 활용할까요? (0) | 2024.06.14 |
---|---|
퇴직금 계산, 헷갈리나요? 통상임금과 상여금 활용법까지 꼼꼼히 알려드릴게 (1) | 2024.06.14 |
삐삐밴드의 유쾌한 씨의 껌 씹는 방법: 90년대를 풍靡한 펑크 록의 진수 (2) | 2024.06.14 |
교차로 통행방법 위반 벌점: 꼼꼼하게 알아보고 안전 운전하세요! (0) | 2024.06.14 |
[사진으로 배우는 아령 운동 방법] (0) | 2024.06.14 |